기업 분석

기업 분석: HL만도 (자산&시가 총액 비교)

sgcompany95 2023. 12. 10. 10:09

안녕하세요 SG Company입니다. 오늘은 HL만도를 분석하려 합니다.

(전문적으로 배운게 아닌 책을 읽고 스스로 분석해서 부족할 수 있습니다. 언제든 말씀 부탁드려요)

 

회사 업종에 따라 원칙이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원칙을 기준으로 분석을 했습니다.

  1. 재무제표
  2. 자산 총액과 시가 총액의 비교
  3. 자산과 부채 비율의 비교
  4. 매출액과 순이익의 비교 
  5. 정리 및 기타사항

저런 원칙을 둔 이유는 회사가  1) 성장하고 있는가 2) 위험이 생겼을 때, 이겨 낼 수 있는가 를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원칙에 대해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 부탁 드립니다.)

 

 

기업 분석: 원칙

안녕하세요 sg company 입니다. 저는 기업 분석과 주가에 대해서 글을 작성하려고 하는데, 그 전에 원칙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나중에 기업 분석을 보실 때 참고 부탁 드려요. * 원칙은 여러 자료를

sgcompany95.tistory.com

 

그러면 HL만도 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아래 내용은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작성했습니다)

HL만도

HL만도는 1964년 현대양행 자동차 부품 생산을 담당하는 안양공장 기반으로 설립되었습니다. 현대양행 자원 개발부에서 독립해서 만도 기계로 상호를 바꾸고, 한라그룹을 지주회사로 두게 됩니다. 2014년 9월 2일에 "한라홀딩스" 지주회사에서 분리되어 현재의 HL만도로 상장합니다.

 

개발 제품은 크게 자동차 감속&정지 시키는 1) 제동장치(Brake System), 운전 방향을 조작하는 2) 조향장치(Steering System), 노면의 충격을 완충 시켜주는 3) 현가장치(Suspension)이 있습니다.

또한 자회사인 HL클레무브를 통해 자율 주행과 관련된 솔루션 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자율 주행과 레이더 관련 1)  Autonomous Driving 솔루션 부문, 자동차용 전장솔루션 2) Automotive Electronics 솔루션 부문, S/W 및 데이터에 연관된 모빌리티 서비스 개발 3) Data 솔루션 부문이 있습니다. 

 

 

HL만 재무제표: 9개년 (2014~22년도)

 

재무제표의 경우, 요약 재무제표 14~22년도를 가져왔습니다.

요약이 아닌 재무제표 및 상세 내용은 링크 참고 부탁 드립니다.  https://sgcompany95.tistory.com/19

상기 내용은 요약 재무정보에서 발췌했습니다. 

제4기(전전기)는 종전 기준서인K-IFRS 제1115호 및 제1109호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당사는 2018년 3월 30일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서 1주당 가액을 5,000원 → 1,000원으로 변경하는 주식분할을 결정하였고, 2018년 5월 8일부 신주상장 되었습니다.

 

분석

 1. 자산 총액과 시가 총액의 비교

  • 22년도 12월 기준 HL만도의 시가총액은 2조 9630억 원이며, 자산 총계는 5조.8458억 원입니다.
  • 성장성: 자산의 총액의 경우 14~22년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시총은 자산보다 항상 낮으며, 추세는 횡보 수준입니다.
  • 주가 반영: 시총&자산 총계 추이를 보면, 자산이 상승하더라도 시총(주가)는 일치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 

 

이전 반도체 기업들과 다르게, 주가(시총)가 자산에 반영되지 않은 모습이며, 또한 시총이 자산보다 낮은 상태입니다. 이렇게 시총이 낮은 모습은 투자자들의 관심이 적다고 생각 됩니다. 

 

자산 총계 > 시총(주가) → 투자자들의 관심이 적음

 

이런 양상이 왜 나타나는지 잠시 살펴보면, 왼쪽 재무제표 당기순이익에서 볼 수 있습니다.

경기가 좋을 때는 자동차, 여행 등 소비가 증가하지만, 침체될 경우 반대로 감소합니다. 실제로 연결재무제표와 다르게 재무제표의 순이익을 보면 적자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른 기업에 비해서 이런 양상이 심하기 때문에 자동차 산업은 흔히 경기순환주라고 말합니다. 

 

경기 침체 영향이 큼 → 자동차, 여행 등 소비는 감소 → 기업 내 이익 반영 → 주가(투자)에 반영 


 

자동차 산업은 이런 특성 때문에 주주 친화적인 정책(고배당, 자사주 매각, 주식 분할 등) 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은 HL만도 14~23년 만도 주가로, 만도 또한 18년도에 주식 분할을 했습니다. 

 

 

상장된 주식 수가 늘어나는 경우는 1) 유상 증자 2) 무상 증자 3) 액면분할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만도의 경우 액면분할로 1주당 가액을 5,000원 → 1,000원으로 변경하여 신주발행을 했습니다. 이런 신주 발행은 증자와 달리 기존 주가를 낮추는 대신, 주식수를 늘려 유통 주식수가 많아지게 합니다. 유통 주식수를 늘려 거래량을 늘릴 수 있어, 기존 주주입장에서는 친화 정책입니다. 

 

시총= 주가*주식수

발행 주식수 증가 ↑ & 주가 ↓

1주를 살 수 있는 가격이 낮아짐 → 투자자들이 쉽게 주식 구매 가능

유통 주식수 증가 → 투자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주식 수가 증가


 

결론

1. 자산 총계는 전제적으로 우상향하며, 시총은 항상 자산 총계보다 낮으며 횡보 수준에 있습니다. 

* 시총=주가*발행주 /  상기 자산 기준은 12월 기준입니다. 

 

2. 시총이 낮다는 말은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적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주가의 관심이 낮은 이유 1) 당기순이익이 적자가 있을 때가 있으며, 2) 자동차 산업이 경기순환주 이기 떄문입니다. 

    경기 침체 영향이 큼 → 자동차, 여행 등 소비는 감소 → 기업 내 이익 반영 → 주가(투자)에 반영 

 

3. 투자자들의 관심이 적기 때문에, HL 만도는 액면분할을 시행한 적이 있습니다. (18.05.08) 

    액면분할을 통해 거래 가격의 부담을 낮추고, 유통 주식수를 늘려 거래량을 활발히 할 수 있습니다.

 

시총= 주가*주식수

발행 주식수 증가 ↑ & 주가 ↓

1주를 살 수 있는 가격이 낮아짐 → 투자자들이 쉽게 주식 구매 가능

유통 주식수 증가 → 투자자들이 구매할 수 있는 주식 수가 증가